금붓꽃.
은방울꽃(백합목,백합과)
“오월화”“녹령초”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산지의 비옥한곳에서 자생하고 키는 20~30cm정도로 뿌리를 옆으로 뻗어 뿌리에서 새순이 나와서 번식을 함으로 군락을 이룬 곳이 많이 있고 잎은 줄기의 아래에서 줄기를 감싸고 나오는 10~20cm 너비는 5~8cm크기로 2장씩 나온다.
꽃은 5~6월에 동그란 종모양의 지름이 6~8mm정도로 작은 흰색의 꽃이 꽃대에 10개까지 아래를 향기 달린 모습이 은방울이 달린것 같아
“은방울꽃”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꽃대는 잎의 사이에서 나와5~15cm까지 자라고 꽃의 은은한 향은 향수의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.
열매는 7월에 붉은색으로 익으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강심, 이뇨 등의 약재로 쓰이고 꽃말은“순결”“다시찾은행복”
이다.
동의나물.(미나리아재비목.미나리아재비과)
일명“입금화”(立金花).불리며 산지의 습지에서 자생하는 20~30cm 정도 자란다.
잎과 줄기는 뿌리에서 나오며 잎의 모양은 둥근 하트모양으로 크기가 가로세로 4~5cm 정도이다.
꽃은 4~5월에 개화하는 진노랑의 황금색이며 줄기의 끝에 1~2개씩의 꽃이 하늘을 향해 피고 화경은 2cm정도이고 옆으로 비스듬하게 자라는 것은 “눈동의나물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.
나 비 언 덕
이 암.
녹음 짖은 식장 비탈
춘풍 감은 산 허리에
그려 논 듯 수 노은 듯
팔랑 팔랑 노란나비
수천인가 수만인가
한들한들 샛노란 색
꽃이 되어 춤을 춘다.
그늘언덕 흐드러진
초록빛 잎사귀에
진노란 네장 꽃잎
흰 고깔 연두 암술
나비의 날개가 된
피나물 꽃 화련 자태
흠뻑 취해 빠져 버려
식장그곳 머문 시간
감탄에 젖어 든다.
피 나 물.(양귀비목.양귀비과)
일명“여름매미꽃”“하청화”“노랑매미꽃”이라 불리며 중부이복지방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남 지방에서도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산지의 습한 곳에서 20~30cm정도 자란다.
잎과 줄기는 뿌리에서 나오며 잎자루는 길게 자라고 줄기의 끝에 5개의 잎이 부채처럼 달리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모양을 한다.
꽃은 잎겨드랑에서 나온 꽃자루에서 1~3개의 꽃이 달리고 꽃잎은 노란색의 4장으로 되어있으며 화경은 2~3cm정도이로 4~5월에 개화한다.
줄기에 상처가나면 황적색의 진이 나와서 피나물이라 불린다고 하며 독성이 있으나 약재로 쓰인다.
앵 초.(앵초목.앵초과)
우리나라 산지의 물가나 습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키는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나 보통 10~30cm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타원형으로 잎의 표면은 주름으로 되어있고 잎과 줄기에는 흰털로 덮여 있다.
꽃은 4~5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개화하고 줄기의 끝이 2~10개의 꽃자루로 갈라져 각각의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1개의 암술과 5개의 수술로 되어 있으나 속에 숨어있어 곁으로는 잘 보이지를 안으며 화경은 1.5~2cm정도이다.
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앵초의 종류는 10여종으로 “앵초”“큰앵초”“돌앵초”고산에서 자생하는 조금 작은 종인“설앵초”황색가루가 붙어있는“좀설앵초”등이 있다.
꽃말은“행복의열쇠”또는“가련”으로 알려져 있다.
'한국의 야생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왕쌀새(test version) (0) | 2011.08.02 |
---|---|
[스크랩] 야생화. (0) | 2011.08.02 |
[스크랩] 야생화. (0) | 2011.08.02 |
[스크랩] 함박꽃나무. (0) | 2011.08.02 |
[스크랩] 야생화. (0) | 2011.08.02 |